해밀러의 스마트한 세상사 :)!!

세계무역규모 순위에 대한 포스팅 입니다. 오늘날 지구촌 여러 나라에서는 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그 규모는 엄청난 수치인데요, IMF의 무역통계 발표에 의하면 2018년 지구촌 209개국(투발루 같은 작은 소국까지 모두 포함한 수치)은 약 19조5천억 달러를 수출하고, 약 19조 5천억 달러를 수입함으로서 도합 약 40조 달러 규모의 무역을 했다고 합니다.


(자세한 수치는 2018년 IMF통계에 의하면 수출총액 19,522,259,000,000이고, 수입총액 19,587,304,000,000입니다.)


대한민국은 2018년 세계에서 7번째로 무역규모가 많은 나라였다고 합니다 :)


우리나라는 무역이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하고 무역의존도가 70%에 달하는 만큼 무역은 우리 대한민국의 생명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지구촌에서는 어떤 나라들이 무역을 많이 할까요? 


한국무역협회의 통계자료를 기초로 2018년 1위부터 20위까지의 주요 무역대국들의 무역규모를 살펴보겠습니다.


1>세계무역규모 순위 1~20위 국가모음(단위:백만달러)


 순위

 국가명

 수출액    

    수입

   무역수지

 1위

 중국

 2,474,149

 2,135,261

  338,888

 2위

 미국

 1,654,007

 2,532,850

 -878,843

 3위

 독일

 1,589,655

 1,289,940

  299,715

 4위

 네덜란드

 717,586

 620,568

  97,018

 5위

 일본

 732,629

 748,849

 -16,220

 6위

 프랑스

 586,824

 683,262

 -96,438

 7위

 한국

 601,154

 543,186

  57,968

 8위

 이탈리아

 552,773

 501,920

  50,853

 9위

 홍콩 

 578,141

 629,529

 -51,388

 10위

 러시아

 446,421

 235,984

  210,437

 11위

 영국

 482,667

 679,224

 -196,557

 12위

 벨기에

 476,000

459,048

  16,952

 13위

 캐나다

 448,439

 480,517

 -32,078

 14위

 멕시코

 450,572

 492,133

 -41,561

 15위

 싱가포르

 389,019

 388,671

  348

 16위

 스페인

 347,668

 387,668

 -40,000

 17위

 인도

 319,332 

 516,746

 -197,414

 18위

 UAE

 272,682

 252,261

 20,421

 19위

 스위스

 308,389

 286,466

 21,923

 20위

 사우디 

 316,847

 130,289

 186,558

 

(출처:한국무역협회 세계무역통계 페이지 http://stat.kita.net/stat/world/trade/CtrImpExpList.screen


(2018년 IMF 발표기준 단위:백만달러)



이 통계는 무역대국 상위 20여개 국가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고 209위까지의 자세한 통계가 궁금하신 분들은 


본 통계의 출처인 한국무역협회의 무역관련 통계 홈페이지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한국무역협회는 무역에 있어서 국내에서 가장 신뢰성 있는 통계와 자세한 분석 자료를 제공해 이 문제를 공부할때마다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2>인류는 왜 무역을 하게 되었을까?




인간이 무역을 하게 된 것은 먼 옛날 원시시절의 물물교환으로 돌아갑니다.


사람이 사는 곳엔 대부분 어디에나 조금 혹은 많이 부족한 것이 있습니다. 인류는 서로가 서로에게 이런 부족한 물건들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무역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시대가 흘러 이런 물물교환이 실크로드나, 해상무역으로. 석탄과 동력선 시대의 등장 이후로는 국제무역으로, 오늘날처럼 첨단 지식정보화 시대에는 온라인까지 오게 된 것입니다.


이런 많은 발전 끝에 오늘날처럼 지구 반대편에서도 인터넷으로 다른 나라의 물건을 살 수 있는 시대 까지 오게 된 것입니다 :)


3>한국의 미래는 자유무역!  


많은 경제학자들은 역사적으로 보호무역이 부른 폐해를 지적하곤 합니다.


보호무역은 결과적으로 많은 나라에 피해를 입히고, 경제생산과 후생을 감소시켜 불이익을 주었다는 것이죠.


이것의 대표적인 예시로 경제학자들은 세계대공황 이후로 벌여졌던 미국과 유럽각국의 보호무역적인 흐름이 그로인한 2차 대전의 원인이 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합니다.


(물론 경제대공황의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고, 이것만이 원인은 아닙니다.)

특히 한국처럼 무역의존도가 높은 나라에게는 자유무역으로 개방된 시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국우선주의와 보호무역경향이 좋지만은 않습니다.


최근 영국의 브렉시트 사태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우선주의 주장 등이 자유무역에 위협이 된다고 하는 분석도 있지만,


한편으로 이것은 2000년대 이후 지나친 세계화와 경제개방으로 인해 손해를 본 국내유권자들의 지지에 힘입은 것이기에,


나름 그 나라 국민들의 심정을 이해 못할 바는 아닙니다.


하지만 한국 같은 수출대국들은 아무래도 자유무역 경향이 좋겠죠 ㅠㅠ 다행히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도 자주와주고, 우리나라의 기업인들의 대미투자를 고마워하며 격려하고


한국에 배려해주려는 모습을 보면 참 다양한 매력을 가진 사람이구나 라는 생각이듭니다.


4>무역으로 긴밀히 연결된 세계 




한때 미국에서 무역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유명한 광고가 있었다고 합니다.


당신이 오늘 하루를 보내는 동안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물건 외의 물건이 없었다면 어떻게 생활했을지 테스트해보세요.


테스트 결과 적잖은 물건이 수입산 이었고, 시청자들이 멋쩍게 웃었다는 후문입니다.


이는 단지 미국뿐만이 아닌 지구촌 어느 나라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날 국제사회의 고도로 분업화된 생산, 제조, 유통, 판매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이 과거와는 비교가 되지않을 복잡하고 성능좋은 물건들을 만들어내면서 한 제품을 생산할 때 한 국가의 한 원료만 투입하는 경우는 많이 사라졌습니다.


이것은 믿기지 않는 분야에서 일어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 산유국이 아니지만 세계최대의 석유화학제품 수출국중 하나입니다.


GS 칼텍스나, SK에너지 등 국내 굴지의 석유대기업들은, 중동국가에서 수입한 원유를 고도로 정제하고 질 좋은 석유화학제품생산에 사용해서 해외에 판매하고 이를 수입하는 수입국 중에는 중동의 산유국도 있습니다.


이미 국제경제는 고도의 분업사슬로 하나가 되었고 이런 시스템아래서 지구촌의 구성원들은 각국의 물건들을 이전세기의 사람보다 훨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바탕이 되는 무역이 지구촌의 번영에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겠죠 :)


5>무역에서 소외된 사람들도 챙기면 어떨까요?


그러나 무역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제3세계 국가의 빈곤문제가 대표적인데요,


이들의 경우 몇몇 잘못된 다국적 무역기업들의 착취나 환경파괴문제로 곤란을 겪기도 합니다.


이런 잘못된 행동이 지구촌 무역의 소중한 가치를 훼손해선 안되기 때문에 유엔경제사회이사회와 유엔의 각종 국제원조기구들은 제3세계 국가들이 아직 미숙한 산업으로 인해 무역에서 손해만 보지 않도록 다양한 지원과 노력을 병행하고 있지만 아직 현실에 못 미친다고 합니다 ㅠㅠ


한편 어느나라든 사양산업이 있고, 이런 사양산업은 경쟁력있는 외국산업과 무역을 할 경우 해당 산업 종사자가 큰 피해를 보게됩니다.


국민의 세금으로 국가를 운영하는 정부는 이들을 적절하게 보호하고 직업재교육이나, 타사업이전시 보조조치 등으로 보호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천릿길도 한걸음부터라는 말처럼 앞으로 이런 노력들이 쌓이고 쌓이다보면 먼 미래의 지구촌은 무역으로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세상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이상적인 꿈을 품어봅니다 :)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