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살아서 좋은 점 5가지
제 블로그의 방문자님들은 한국에서 살면 어떤 좋은 점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외국생활을 오래 해본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나, 여행을 목적으로 해외를 다녀본 제 경험에 비추었을 때 한국에 살아서 좋은 점 10가지 포인트를 이야기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요즘 코로나 19 시국과 경제위기로 많은 이들이 지치고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ㅠㅠ..
이런 점이 안타깝기도 하고 힘든 시대 속에 그나마 긍정적인 것들을 되새기면서 용기를 내보고 싶은 의도도 있어요.
우리 모두 삶의 경험이 다르고 , 느끼는 바가 다른 만큼 이 글은 저와 제 주변의 경험에 근거한 주관적인 성격이 강하니 생각이 다른 분들에겐 양해를 구한다는 것 :) 먼저 말씀드립니다.
Key point
*깨끗한 물, 빠른 인터넷, 쾌적한 대중교통이 가장 마음에 든다.
*선진국 중 상대적으로 범죄율이 낮은 편에 속하며 치안이 좋은 편에 속한다.
*빠른 배송과 좁은 국토면적의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도 물을 구하기 쉬운 환경입니다. 어디에 가서도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쉽게 구하는 편인 나라죠.
(사진=픽사 베이)
물 정보 포털의 자료에 의하면 UN에서 평가한 우리나라의 수돗물 수질 순위는 세계 8위였다고 합니다.
물론 수돗물을 그대로 음용하시는 경우는 거의 없겠지만 많은 아프리카나 제3세계 국가 심지어 선진국 일부 국가에서 조차 음용이 아닌 몸을 씻을 물이나 세탁 등의 생활용수의 품질을 신뢰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유럽 몇몇 나라들의 경우 물에 석회질이 너무 많아서 물을 그대로 쓰지 못해 포트기로 끓여마시는 경우가 많았다고 유럽 유학을 다녀온 지인에게 들은 게 생각납니다.
www.unicef.or.kr/news/story_view.asp?idx=57002
이렇듯 유니세프의 자료에도 나오지만 이 지구 상에는 사람들이 물이 없어 고통받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의 경우 생활용수가 급해 가사를 맡는 여성이나 어린아이들이 물을 긷으러 가다 종종 악어나 맹수의 습격을 받는 사고도 벌어지는 일이라고 하니,
어디서든 수도를 쓰기 편하고, 물값이 비싸지 않은 한국의 현실이 참 감사할 때가 많습니다.
물론 한국도 환경보호 차원에서 유엔이 지정한 물 부족 국가라는 캐치프라이즈를 바탕으로 물을 절약하는 운동이 지속되고는 있으니
물을 아껴 써야겠죠 :)
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36317
한국에서 만났던 외국인 친구들이 항상 꼽았던 한국의 좋은 점은 한국은 어디에서나 인터넷이 빠르고, 잘된다는 점이었습니다.
곳곳에 있는 공공 와이파이, 어디에나 퍼져있는 pc, 스마트폰 보급률 등 접속 인프라도 좋았고, 속도 또한 신뢰할만했습니다.
위의 뉴스 기사처럼 모바일 인터넷 속도로 세계 1위를 차지했죠. 데탑으로 하는 인터넷 속도도 세계 구급입니다.
요즘 다른 나라들도 우리나라 못지않게 빨라지는 추세지만 놀랍게도 현재 지구인 들 중 35억 명은 인터넷 그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 살고 있습니다!!
이 376번 글은 제가 세계 인터넷 사용인구를 조사하고 포스팅인데요, 궁금하시면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
의외로 많은 나라에서 인터넷 그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지역, 개인들이 많고, 미국과 유럽인들처럼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고 여기는 나라들 조차 한국의 인터넷 속도를 칭찬합니다.
오늘날 인터넷 없이는 살기 힘들다는 것을 생각해볼 때 이건 정말 좋은 점입니다.
요새 일본도 점점 빨라지는 추세지만 과거 일본 여행을 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일본이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보다는 인터넷 속도가 느린 게 신기했어요^^;
실제로 한국의 이 장점은 이번 코로나 사태 대응에도 유용하게 활용되었습니다. 인터넷으로 코로나 방역 정부가 쉽게 온라인 공유가 되고,
등교중단 사태 때 교사와 학생들은 원격 수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전에 읽은 해외토픽 보도에서 온라인 환경이 부족한 제3세계 국가에서 도저히 원격수업을 할 수 없자, 집집마다 아이들을 찾아 교육하던 교사의 이야기가 생각나네요 ㅠ
제자를 사랑하는 선생님의 마음이 아름다웠지만, 그런 나라들도 쉽게 인터넷을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지 생각해봤습니다.
(사진=픽사 베이 한국의 지하철 모습)
미국 생활을 오래 했던 지인이 해주었던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국의 지하철이나 버스는 한국보다 낡은 편인 경우가 많았고, 치안도 위험해 늘 강도의 위험을 걱정하곤 했다는 것이죠.
한편 저도 옆 나라 일본 여행을 갔을 때, 지하철이나 버스의 질적인 퀄리티는 상당하지만 요금이 비쌌던 게 기억에 남습니다.
관광객인 저였기에 관광객 전용 패스를 사용해서 저렴하게 이용했지만, 한국으로 치면 지하철 4,5 정거장 밖에 안되는데 한화로 약 4000원의 요금이 나오는 구간도 있던걸 보고 놀랐죠.
일본이 자전거가 활성화되어있는 요인이기도 하고, 일본의 좋은 직장 기준에 교통비 지원이 포함되어있는 이유기도 합니다.
반면 한국은 지하철과 버스요금이 세계적으로도 저렴한 편입니다. 아래의 기사는 한국의 지하철이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기사입니다 :)
그 밖에도 한국의 고속철도와 한국공항의 안전성, 청결도, 쾌적함, 서비스는 이용하기 편리하고 깨끗해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
한국의 치안은 선진국 중에서 굉장히 높은 편에 속합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1) 우선 총기가 자유인 나라가 아닌 점 국토면적으로 범죄자들이 멀리 도망칠 여지가 마땅하지 않은 점 경찰의 높은 검거율 4) 전국의 촘촘해진 CCTV 5) 높은 보급으로 현금 소지가
실제로 어느덧 기성세대인 저로서도 90년대와 2000년대 2020년대인 지금 느끼는 치안의 수준이 다릅니다.
저처럼 나이가 좀 있으신 분들은 퍽치기라던가, 차털이(도둑이 자동차 안을 터는 행위) 등의 용어를 기억하실 겁니다. 꾸준한 노력의 결과 한국의 치안은 세계적으로도 높은 편이 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OECD의 2018년도 회원국 범죄통계 조사 결과가 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살인사건 통계에서 한국은 0.6이 나왔습니다.
이것은 총기범죄가 많은 미국의 5.0은 (... 미국은 미국인 친구도 말하지만 범죄문제가 참..) 물론이고, 세계적으로도 알려진 선진국인 핀란드의 1.6이나 독일의 0.9보다도 낮은 수치입니다.
제 외국인 친구들은 저와 첫 만남을 가질 때 놀랐다고 이야기했던 것이 카페나 음식점에서 화장실에 갈 때 핸드폰이나 가방을 두고 그냥 가는 것에 놀랐다고 합니다.
가방의 겉 주머니에 넣고도 아무렇지 않아 하는 한국 사람들의 모습도 신기했다고 하고요 :)
통계가 궁금하신 분들은 이 통계의 출처를 볼 수 있도록 통계청의 링크를 첨부해놓겠습니다.
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D19_OECD
물론 아래와 같은 점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어디까지나 '강력'한 대면 사건 비율의 측면에서 안전해지고 있는 거지 온라인 보이스피싱 등 비대면 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한국의 치안이 명확하게 세계 몇 위인가! 는 조사방법, 기관, 시기에 따라 결과가 각각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이점에 대해 뉴스 토프에서 쓴 좋은 기사를 함께 첨부합니다.
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816
*즉 제가 말하고자 하는 한국의 치안이 좋은 점은 어디까지나 세계적 차원에서 '상대적'이며, 강력사건을 당할 비율이 낮다는 것이지
힘없는 어린이, 여성, 장애인, 노인 등을 늘 경각심을 가져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언론보도로도 어린이 범죄가 나와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했죠.
평창올림픽 당시 외국인 선수들이 한국을 방문해 밤늦은 시간에도 배달음식을 시켜먹고 SNS 등에 인증을 해서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은 산간도서, 오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우 3~7일, (요즘은 엔간한 산간오지나 도서가 아니면 이것도 온다고 하네요.)
요즘 쿠팡 발 전쟁으로 당일배송 서비스도 점점 확대되고 있고, 많은 온라인 쇼핑업체들, 우체국 택배서비스 등으로 택배를 시키면 빨리옵니다.
외국에 나 가사는 친구들이 한국의 좋은 점을 바로 깨닫는 점 중 하나도 긴 배송시간이었죠.
이렇게 배달, 택배를 시키기 쉬운 것도 한국의 장점 같습니다. :) 이렇게 한국에 살아서 좋은 점에 대해 제가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았습니다.
여러분은 우리나라에 살아서 좋은 점이 무엇이 었나요? 다가오는 봄 건강을 잘 지키시길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포스팅을 퍼가 실 땐 출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흡연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사회경제적 비용 손실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사례들 (0) | 2021.03.17 |
---|---|
네이버 실검 폐지가 미칠 영향과 간단한 전망 (0) | 2021.03.05 |
인터넷이 저출산과 미혼율 증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