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밀러의 스마트한 세상사 :)!!

최근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가 실시간 검색어 일명 (실검)을 폐지했죠, 실시간 급등 검색어를 비롯해 실시간 검색어는

 

과거 네이버나 다음 국내 대형 포털에 들어가면 직관적으로 인터넷 세상의 상황을 알 수 있는 도구기도 했습니다.

 

이 포스팅은 네이버라는 대형 포털 웹사이트의 실검 폐지가 앞으로 온라인, 웹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간단히 전망해 보는 포스팅입니다.

 

물론 전 그냥 지나가는 블로거 1일뿐 이분야의 전문가가 아니기때문에^^; 이 글은 그저 제 개인적인 생각을 실은 것뿐이니 보시는 분들과 생각이

 

다를 수 있어요 이 블로그의 주인장은 여러분과의 서로 다른 생각을 언제나 존중 합니다 :)

 

우선 아래는 네이버 실검폐지를 소개한 BBC 코리아의 기사입니다.

 

www.bbc.com/korean/news-55945572

 

16년만에 사라지는 네이버 '실검'이 한국 사회에 남긴 것 - BBC News 코리아

화제성만큼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www.bbc.com

Key point

 

*pc로 네이버를 접속하는 사람들의 경우 점점 화면 중앙의 뉴스와 광고에 집중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키워드 분석, 인터넷 데이터를 분석하는 웹사이트들의 이용이 더 활발해질 것이다.

 

*포털의 미래를 고민해봐야 하는 시점이 왔다.

 

1> 사라진 네이버 실검과 누리꾼들의 시선 

 

네이버는 명실상부한 국내 1위의 종합포털입니다. 최근 구글과 유튜브가 강세를 띠면서 네이버가 점점 고전하는 듯 하기는 해도,

 

여전히 네이버의 국내 점유율은 60% 이상이 넘고 명실상부한 일인자입니다.

 

그런 네이버 실검이 폐지된 이유는 위의 BBC 코리아의 관련기사에도 나와있듯 실검 시스템이 가진 부작용들 때문이었습니다.

 

특정 키워드 검색어 조작 논란이나 정치, 경제, 사회적인 논쟁에 대한 논란들부터 시작해서, 사람들의 인터넷 상 관심이 너무 편중되는 문제가 웹 콘텐츠의 다양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많았죠.

 

오죽하면 한때 누리꾼들 사이에서 구글은 검색하러 들어가고 네이버는 실검 보러 들어간다는 우스개 농담도 있었더랬죠^^;

 

그러나 실검의 폐지는 향후 PC로 네이버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시선을 바꿀 확률이 높습니다. 이제 네이버 우측 상단의 화면에는 로그인, 날씨 등의 정보가 기록되고 더 이상 실검은 없거든요

 

  (사진=네이버 웹사이트)

 

이제 사람들은 실검으로 빼앗겼던(?) 자신의 시선을 다시 가운데로 돌릴 확률이 높습니다. 이렇게 되면 네이버 웹사이트 가운데의

 

뉴스 기사, 중앙 광고에 누리꾼들의 시선이 더 집중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2> 키워드 분석 웹사이트의 유용성이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경제활동을 해야 하는 기업, 온라인 마케팅 종사자, 웹사이트 관련자 및 저 같은 블로거들에게 실검은 중요한 정보가 되기도 했습니다.

 

단순히 실검 그 자체가 아니라 그날 급상승한 검색어, 검색 키워드들을 보면서 어떤 글을 써야 할지, 누리꾼들은 무엇에 관심이 많은지에 대해 알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실검이 사라진 지금 많은 온라인 관련 종사자 들은 키워드 분석 사이트 들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키워드의 목록을 정리해놨는데 방문하면 그날 우리나라의 누리꾼, 네티즌들이 어떤 검색어를 많이 입력했고,

 

지금 당장 온라인 상에 이슈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어 유용한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네이버 측도 실검은 폐지했지만,

 

앞으로 네이버 데이터랩을 더욱 발전시켜서 키워드를 순기능으로 쓰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간다고 알고 있습니다.

 

1> 우선 네이버 데이터랩입니다.

 

datalab.naver.com/

 

네이버 데이터랩

네이버의 검색 트렌드 및 급상승검색어 이력, 쇼핑 카테고리별 검색 트렌드 제공

datalab.naver.com

2> 요즘 많은 블로거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블랙 키위입니다.

 

blackkiwi.net/

 

블랙키위 - 키워드 검색량 조회, 분석

특정 키워드가 얼마나 검색되는지 알아보세요.

blackkiwi.net

3>이건 뉴스 기반 통계검색 서비스인데 웹사이트에 방문하면 한눈에 현재 주요한 뉴스에 관한 키워드들을 볼 수 있어 좋습니다.

 

data.kostat.go.kr/social/keyword/index.do

 

뉴스기반통계검색서비스

 

data.kostat.go.kr

4>잘 알려져 있는 구글 트렌드입니다.

 

trends.google.co.kr/trends/?geo=KR

 

Google 트렌드

 

trends.google.co.kr

이밖에도 구글에서 '키워드 분석 사이트' '검색어 분석 사이트'등의 검색어를 입력하면 다양한 종류의 사이트가 나옵니다 :)

 

결론적으로 볼 때 네이버 실검의 폐지는 앞으로 이런 키워드, 데이터 분석 사이트들의 활용도와 가치를 더 올릴 확률이 큽니다.

 

3> 포털의 미래를 고민해봐야 하는 시점이 왔다.

 

우리나라에 인터넷이 널리 대중화된지도 벌써 약 20년의 세월이 지났습니다.

 

여러 가지 포털이 있었지만 현재 '대중적으로' 살아남았다고 인정받은 것은 네이버와 다음카카오 정도일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포털 사이트들은 실검이 없어지고, 연예/스포츠란의 댓글을 없애거나 가리는 등의 변동을 겪는 중입니다.

 

분명히 실검이나 댓글에는 많은 부작용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고, 이 부작용들로 없어지는 것이 맞기도 하지만 한편 유용한 면도 있었습니다.

 

특히 국가적 재난상황이나, 누구나 알아야 할 재난, 안보 관련 긴급속보들을 평소에 뉴스를 보지 않는 사람도 포털에 접속만 하면

 

실시간 검색어 순위로 보게 되는 장점도 있었고, 혹시 언론사의 기자 뉴스에 실수로 오탈자를 쓰거나, 사실과 다른 내용을 이야기했을 때

 

그걸 지적하고 기자는 해당 부분을 수정하기도 하는 등 긍정적인 작용이 있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연이은 실검, 댓글 조작 논란이 발생한 것도 사실이고 콘텐츠 편중이라는 부작용도 엄연한 사실이었습니다.

 

이 지점에서 우리가 고민해봐야 하는 것은 포털의 미래입니다. 한때 우리는 검색은 구글, 콘텐츠는 네이버에 있다!라는 말을 누리꾼들끼리

 

웃는 소리로 주고받으면서 인터넷을 이용해왔습니다. 포털의 장점은 누구나 알다시피 양방향 적인 참여이며, 거기서 여러 가지 요소가 파생됩니다.

 

최근 유튜브와 SNS가 뜨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포털의 점유율은 트래픽을 기준으로 봐도 그렇고,

 

확실히 점점 구글, 유튜브와 힘겨루기를 하기 시작한 게 사실입니다.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다고는 하나 우리나라의 웹 생태계가 자체 대형 포털을 갖고 있음으로써 존재했던 위상도 나름의 의의가 있습니다.

 

사실 국민의 인터넷이 자유 사용인 나라에서 한국의 네이버나 다음처럼 자국 포털이 어느 정도 자리를 갖고 있어서 구글이 그 나라의 1위를

 

먹지 못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옆 나라 일본만 해도 1위는 구글 재팬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거든요.

 

국내 포털을 사랑해온 저로서는 관계자 분들이 포털의 미래를 좀 더 고민하고, 제2의 도약에 성공했으면 하는 소망이 있습니다 :)

 

항상 노력해주시는 우리나라의 IT업계 종사자분들에게 감사드리면서 글을 마칩니다. 

 

*이 블로그의 글을 퍼가실 땐 출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