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밀러의 스마트한 세상사 :)!!

이 포스팅은 세계의 원자력 발전 규모 현황과 원전을 많이 가진 국가들의 국가별 통계 순위를 실어보는 포스팅입니다.

 

오늘날 지구촌에서는 원자력 발전을 놓고 여러 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이것은 세계 환경에도 중요한 주제인 만큼 다뤄봅니다 :)

 

Key point

 

*세계원자력협회(WNA)에 의하면 전 세계 사람들이 1년에 사용하는 전기의 10%가 원자력 발전에서 얻어지고 있다.

 

*2020년 기준 전 세계에서는 441개의 원자로가 사람들을 위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세계 원자력 발전용 발전 원자로 규모의 총합은 441개인 것이다.

 

*원자력 발전을 둘러싸고 저탄소 시대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대안이라는 찬성 의견과 핵 폐기물, 사고 위험 등으로 반대하는 반대 의견이 존재한다.

 

1> 세계 원자력 발전소 규모 현황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세계 원자력 협회(WNA)는 세계 원자력 산업을 구성하는 기업을 지원하며 원자력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 지식을 공유하는 세계적인 국제기구입니다.

 

해당 협회는 원전이 존재하는 나라들과 IAEA(국제 원자력기구) 등의 정보를 활용 신뢰성 있는 원자력 데이터를 정리해 웹사이트에 지구인들이 볼 수 있도록 게시하므로,

 

믿을만하다고 판단되어 통계의 출처로 삼았습니다 :)

 

아래의 world nuclear로 시작되는 웹사이트는 세계 원자력 협회가 세계 원자력 발전 규모를 잘 정리해 올린 링크입니다.

 

www.world-nuclear.org/information-library/current-and-future-generation/nuclear-power-in-the-world-today.aspx

 

Nuclear Power Today | Nuclear Energy - World Nuclear Association

Nuclear Power in the World Today (Updated March 2021) The first commercial nuclear power stations started operation in the 1950s. Nuclear energy now provides about 10% of the world's electricity from about 440 power reactors. Nuclear is the world's second

www.world-nuclear.org

위 링크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기준 전 세계에 441개의 발전용 원자로가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원자력은 한해 인류가 생산하는 전기 중 1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한해 세계 전력생산량 중  세계 원자력 발전 비중은 약 10%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50개 정도의 신규 원자로가 건설 중이다.

 

2> 주요 국가별 원자로 보유 순위 상위 10개국

 

(사진=픽사 베이)

 

세계적인 시장조사 통계 웹사이트여서 국내 언론에도 뉴스 기사에 많이 인용되는 스태디 스타에서 국가별 원자로 보유 규모 순위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통계를 보실 때 주의하실 점은 원자로 수가 원전 개수와 100%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2017년 기준 4개의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했었지만 해당 연도에 가동 중인 원자로는 24개였다고 합니다.

 

원자력 발전소의 유형, 규모에 따라 원자로 운용규모가 다르니 아래에 나오는 통계를 원자로 숫자로 생각해주셔야 합니다 :)

순위/국가 원자로 개수 
1위 미국 95기
2위 프랑스 57
3위 중국 47
4위 러시아 38
5위 일본 33
6위 한국 24
7위 인도 22
8위 캐나다 19
9위 영국 15
10위 우크라이나  15

 

통계=2020년 4월 기준 세계 국가별 작동 가능 원자로 보유 통계 출처:스태디 스타 

 

(아래의 스태티스타 웹사이트 그래프 썸네일을 클릭하시면 나머지 국가들의 순위와 보유 현황도 볼 수 있습니다 :)

 

www.statista.com/statistics/267158/number-of-nuclear-reactors-in-operation-by-country/

 

Nuclear power plants by country 2020 | Statista

The statistic shows the number of operable nuclear reactors as of April 2020, by country.

www.statista.com

3> 원자력 발전을 둘러싼 찬반양론

 

오늘날 지구촌에서는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를 둘러싼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전의 포스팅에서 아래의 416번 글과 같이 세계 1인당 탄소배출량 관련 통계를 싣으며 저탄소 생활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해보았지요.

 

hemiliar.tistory.com/416

 

세계 1인당 탄소배출량(co2) 국가별 순위 통계

오늘은 각 국가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순위를 실은 포스팅입니다. 오늘날 지구촌에서는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문제가 이슈입니다. 세계적인 국제환경기구와 단체들은 국가별로 이산화탄

hemiliar.tistory.com

오늘날 원자력 발전을 둘러싸고 지구촌에서는 찬반양론이 거셉니다.

 

저는 다양한 생각을 존중하고 제 블로그 방문자 분들을 모두 존중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양쪽의 의견을 균형 있게 모두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아래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찬/반 양론은 깊고 전문적인 주장, 내용을 정말 매우 매우!! 간단히 요약한 것일 뿐이니 대강의 읽을거리이지

 

양쪽의 주장을 전부 싣지는 못한다는 점을 양해구해봅니다.

<1> 원자력 발전을 찬성하는 사람들의 의견

 

*저탄소 시대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

 

현재 지구는 기후변화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고, UN과 국제사회는 각국의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적극적으로 올릴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가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풍력, 수력, 태양열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재생에너지들의 효율과 발전량이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기에

 

여러가지 나름의 단점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점에 관해선 제가 전에 아래의 179번 글로 개별 재생에너지들의 단점을 정리해 두었으니 읽어보시면 참고가 될 것 입니다.

 

hemiliar.tistory.com/179

 

대체에너지의 종류와 한계 단점들

대체에너지의 종류와 한계에 대해 이야기해 보는 포스팅입니다. 오늘날 글로벌 지구촌에서는 친환경과 석유에너지 절감을 위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여념이 없습니다. 대체에너지의 종류도 다양

hemiliar.tistory.com

반면 원자력은 이런 상황에서 현실 가능한 대안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실제로 현재 UN 기후변화 회의나 국제적인 기후변화 과학자 모임에서 원자력 발전은 진지한 대안으로 거론됩니다.

 

아래의 신문기사 링크 글은 기후변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원자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가진 각각 국내 전문가 분과, 해외의 전문가 분의 칼럼을 첨부해 본 것입니다.

 

www.epj.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07

 

[전문가칼럼] 원자력 없이 기후위기와 에너지위기를 막을 수 없다 - 일렉트릭파워

[일렉트릭파워] 기후위기는 이미 우리에게 와있다.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의 가사가 변했다. 평균기온은 12도에서 13도로, 강수량은 1300에서 1800으로, 명태 거북이는 홍합 따개비로 바뀌었다.

www.epj.co.kr

newspeppermint.com/2021/03/26/m-bullshit/

 

반핵 운동의 헛소리들

(Ted Nordhaus, Breakthrough Institute) 원문 보기 철학자 해리 프랑크푸르트의 “헛소리에 관하여(On Bullshit)”는 거짓말쟁이와 헛소리꾼을 구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프랑크푸르트는 거짓말쟁이들은 오

newspeppermint.com

*원자력의 폭넓은 이용성

 

원자력 발전은 단지 전력생산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오늘날 원자력은 의료나 과학연구, 우주 분야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응용되어

 

인류의 삶과 복지를 늘리고 있습니다.

 

*속도와 가성비의 문제

 

위에서도 제가 과거 대체에너지, 재생에너지의 단점에 관해 쓴 과거의 포스팅을 첨부해 소개드렸지만, 현재 재생에너지들은 어딘가 한 가지씩 단점이 있습니다.

 

문제는 현재 지구온난화의 속도가 매우 급격하며, 인류는 파리 기후협정에서 상호 약속한 대로 2100년까지 기후 상승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미 존재하고 인류가 할 줄 아는 기술을 바탕으로 재빨리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것과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단점을 극복해가며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것보다는

 

우선 할 줄 아는 것으로 대체한 다음, 개별 재생에너지를 발전시키자는 의견이 있습니다.

 

현재 기후변화의 속도는 매우 빨라 최악의 경우 2030년이 되면 북극에 빙산이 없어질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2> 원자력 발전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의견

 

*핵폐기물의 처리 및 보관 문제 

 

어느 원자력 발전소든 원자력 발전을 하고 나면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것을 안전하게 처리하거나 보관하는데 곤란을 겪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단체 환경운동연합의 웹사이트에 올라와있는 핵폐기물 관련 설명 글인데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 링크로 첨부합니다.

 

kfem.or.kr/?p=22386

 

핵폐기물의 문제점

핵 폐기물이란? 핵 폐기물은 핵무기 실험과 핵발전소 운영의 결과 배출되는 폐기물로서, 방사능 물질로 되어 있 어서 인간건강에 치명적를 주고 있다. 핵실험에 의해 발생하는 방사능 낙진은 대

kfem.or.kr

*원전과 관련된 대형 사고의 기억

 

이제는 체르노빌 사건을 드라마화한 것이 아래 왓챠에서도 볼 수 있을 만큼 유명해져 버렸죠. 원전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사고의 위험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물론 원전을 찬성하는 쪽은 현대적인 원전은 이런 문제들에 최대한 대비가 되었기 때문에 지나친 기우라고 합니다.

 

하지만 사고의 위험을 무시할 수 없다는 반대쪽 의견도 무시하기만은 어렵습니다.

 

watcha.com/contents/share/tR2ewJW

 

체르노빌 | 왓챠

[왓챠 익스클루시브] 1986년 4월 26일, 소련 체르노빌에서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가 발생한다. 정부는 방사능 피해 사실을 은폐하며 시민들을 죽음으로 몰고, 사고는 인류 역사상 최악의 재난으

watcha.com

*핵무기로 전용될 위험과 평화문제

 

원자력은 선한 마음으로 이용하면 우리의 일상을 도와주는 전력생산을 할 수 있지만, 나쁜 사람들의 손에 나쁘게 사용된다면 언제든지

 

핵무기로 바뀌고, 평화를 위협하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과거에 러시아의 핵무기에 대해 포스팅하면서 세계의 핵탄두 보유현황이나 요모조모를 다룬 바 있었죠 :)?

 

hemiliar.tistory.com/343

 

러시아가 핵무기를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

러시아가 핵무기를 중요시 여기는 이유, 즉 핵무기를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를 간단히 다루어본 포스팅 입니다. 뉴스를 보다 해외면을 보면 잊을만할때마다 러시아 장거리핵폭격기의 동해비행,

hemiliar.tistory.com

그나마 러시아는 UN의 상임이사국이고, 자국이 먼저 공격받기 전에는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선제 핵공격 금지를 명분에 걸어두고 있고,

 

세계적인 핵 강대국인 미국은 의회와 민주주의가 존재하기 때문에 독재자 1명이 나쁜 판단으로 핵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입니다.

 

그런데 원자력 발전이 잘못된 방법으로 테러리스트나 불량국가의 독재자들에게 악용된다면 인류에게 크나큰 해악이 될지 모른다는 염려가 있습니다.

 

*아직까지도 모를 후유증 문제

 

세계적인 반핵운동가들은 현재 인류가 원자력에 대해 가진 지식의 부족 문제를 근거로 들면서 원전의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방사능의 후유증은 매우 장기적이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입니다.

 

어떠셨나요? 저는 찬반양론을 인터넷으로 가볍게 조사해 실어보았는데 양쪽 다 맞는 말 같아서 섣불리 어느 한쪽이 맞다고 못하겠네요 하하^^;

 

어느 쪽이든 지구의 환경에 도움이 되는 미래가 찾아왔으면 좋겠습니다. 세계 원자력 발전 규모 통계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