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TV보급률 통계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오늘날 TV방송이 주는 즐거움은 상당한 편이죠.
집집마다 한대씩 TV가 있는 지금의 시대가 오기까지 TV보급률은 역사적 변천을 거쳤습니다.
우리의 아버지,할아버지 세대때 만해도 시골에가면 TV가 있는집이 많지않아 중요한 스포츠 경기때마다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 TV를 보았다는 일화가 전해져 내려오죠 :)
Key point
*통계를 보면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가구에 TV보급이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TV방송 역사는 1956년부터 시작되며 최초의 컬러TV 방송은 1980년 부터 KBS를 통해 시행되었다.
HD방송은 2000년 8월 부터 SBS로 시작되었다.
*오늘날 유튜브, SNS, 인터넷 컨텐츠, 다양한 취미생활,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TV 시청률이 하락하는 추세다.
다양한 검색수단을 활용해보았으나 1965년 부터 시작하는 통계외에 그 이전의 TV 대수 통계를 찾지는 못했습니다.
제가 검색능력이 부족한 점 방문자분들께 사과드립니다 흑 ㅠ_ㅠ
하지만 한국의 TV방송이 1956년부터 시작되었다는 점,
보편적인 공영방송은 1960년대가 되어서야 비로소 시작되었다는 점으로 볼때 그 이전의 통계가 쉽사리 찾아지지 않는건
당연한 것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연도 | TV 등록대수 | 가구당 보급률 |
1965 | 31,701 | 0.6 |
1970 | 379,564 | 6.3 |
1975 | 2,061,072 | 30.3 |
1980 | 6,267,584 | 83.1 |
1985 | 4,773,993 | 49.9 |
1990 | 7,438,423 | 65.5 |
1995 | 14,516,686 | 112 |
2000 | 17,174,396 | 120 |
2005 | 19,859,000 | 125 |
2010 | 21,455,006 | 123.7 |
2015 | 23,404,703 | 122.5 |
(통계 출처=채백, 최창식, 강승화 허윤철, "TV의 보급 확대와 공동체의 변화" <커뮤니케이션이론 2018년 14권 4호> (2018) p146.)
(좋은 연구논문을 작성해주신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강사,연구진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통계를 보아도 알 수 있듯이, TV의 보급은 경제성장의 역사와 그 궤를 같이했습니다.
초창기 TV는 매우 비쌌습니다.
1970년, 쇠고기 한근이 450원이던 시절에 TV의 가격은 약 92,000원이 넘었다는 기록도 남아있는데 엄청나죠^^?
이점에 대해 잘 소개한 좋은 블로그의 포스팅 링크를 첨부합니다.
가끔 6,70년대를 회상하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마을사람들이 한집에 모여 TV를 보곤 했던 장면이 우연이 아닌셈입니다.
이 통계를 볼때 유의해야할 점은 1985년에 급격하게 가구당 TV보급률이 떨어지는 부분인데,
원인은 1985년부터 기존의 흑백+컬러 TV의 합산이 아닌 컬러TV만을 집계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1980년부터 시행된 TV컬러방송이 시행된지 5년 후의 시점이라 점차 컬러TV보급률이 높아지곤 있었다해도,
우리가 스마트폰이 생겼다고 하루아침에 2g폰이 모두 사라진건 아니듯 흑백TV가 컬러TV와 함께 병존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www.youtube.com/watch?v=bWBMPV5SbwI
언제부터 우리는 컬러 TV로 TV영상을 보게된 것일까요?
위의 유튜브 영상은 컬러TV의 보급에 대해 잘 소개한 유튜브 영상입니다 :)
과거엔 흑백TV가 첫 시작이었습니다.
1956년부터 우리나라의 TV방송 역사가 시작됩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TV방송국 이름은 대한방송이었다고 하며,
이 시기에는 지금처럼 하루 일과시간 동안 TV가 방송되지는 않았고, 하루에 2시간 남짓 짧게 방송하곤 했다고 합니다.
이후 KBS가 1961년부터 공영방송의 시대를 열었고, 1980년 12월 부터 컬러방송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SBS를 통해 2000년 부터 HD방송이 송출되었고,
현재는 디지털 TV의 시대로 화질도, 컨텐츠도 더욱 업된 시대가 되었습니다 :)
우리나라 TV 방송의 발전사가 궁금하신 분들은 이 점을 잘 설명, 요약한 국가기록원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television.do
최근 TV 시청률과 TV 이용이 감소한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20,30대 젊은이들 사이에는 TV를 보지않고 인터넷으로 방송을 보는데 더 익숙한 코드커터족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고 하죠.
그렇다면 TV 시청감소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IT 기술의 발달
요 20년 사이 IT 기술의 발달은 눈부신 것이었습니다.
인터넷 자체가 대중화된 것은 이미 20여년 전이었지만 그 시기 인터넷의 속도와 화질은 TV에 훨씬 못미쳤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누구나 스마트폰 혹은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만 있으면 1080p의 고화질 영상을 보는것은 쉬운일입니다.
한편 유튜브와 SNS, 다양한 인터넷 개인 방송 등 볼거리가 증가
시청자들이 방송국들의 기존프로그램에만 얽매일 이유가 사라진 것 입니다.
그리고 IT기술의 발달로 항상 본방 사수를 고집할 이유가 사라졌습니다.
얼마든지 인터넷 vod 서비스나,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유료결제 다운로딩 서비스 등으로
놓친 방송을 볼 수 있으니까요.
*1인 가구의 증가
1인 가구의 증가도 무시못하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첫째 1인 가구는 이사할때 짐을 최대한 줄이려고 합니다.
최근 1인가구들이 주로사는 원룸이나 월세방에 TV가 기본옵션인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이 경우 1인가구 거주자는 굳이 TV를 이삿짐에 넣어 무게를 늘리지 않으려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편 과거 TV 시청률이 전성기였던 시절엔 <가족 오락관>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등 가족친화적인
예능, 시트콤 등 4인 가족이 모여 오붓하게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았습니다.
어느덧 전체 가구구성의 3분의1에 육박하게된 1인가구의 등장은 과거처럼 가족끼리 모여앉아
TV를 보는 분위기가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회의 변화와 다양한 여가 생활의 증가
과거 우리사회가 현재보다 경제적인 여건이 되지 않았던 시절 TV는 중요한 흥미거리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여가생활의 증가와 온라인 동호회 모임,
스마트폰만 켜면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취미생활 모임 등 과거보다 활동적으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최근 1년사이 코로나 사태의 여파로 모임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회의 전체적인 경향성은 TV의존도가 줄어드는 쪽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최근 방송사들은 유튜브와의 접목, 얼마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본방사수 나훈아 콘서트 처럼
색다른 시도를하며 시청자에게 다가서려 노력하고 있는 중입니다.
미래에도 TV를 즐거운 마음으로 볼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이 포스팅이 방문자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글을 퍼가실땐 출처를 표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로나 사태가 기업의 인사, 채용 분야에 미치는 영향 (0) | 2020.12.16 |
---|---|
2021년 한국군 국방예산의 세부사용내역 (0) | 2020.12.05 |
2021년 국가예산 및 정부 부처별 분야별 예산 목록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