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란 축구 경기가 10월 12일 있습니다.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12일 밤 오후 10시 반 이란의 테헤란에 있는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열립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한국 이란의 역대전적을 간단히 소개하고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왜 항상 이란을 만나면 고전하는지 원인을 짚어보는 포스팅입니다.
한국과 이란은 아시아의 라이벌로 현재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에서 이란, 한국 순으로 나란히 조 1,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 대표팀의 선전을 기원해봅니다.
Key point
*한국과 이란의 성인 축구국가대표팀 A매치 축구 전적은 9승 9 무 13패로 이란이 우위에 있다.
*이란 원정이 어려운 이유는 긴 원정 거리와 피지컬 등 여러 요인이 있다.
*이란의 축구 열기와 홈 텃새를 무시할 수 없다.
*이란은 중동국가장 만만치 않은 해외파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축구에서 피지컬이 작용하는 부분은 상당한 편입니다. 높이와 몸싸움에서 유리함을 주기 때문이죠. 한국은 오랜 세월 아시아 레벨의 축구에선 정상급에 있었습니다.
그럴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피지컬과 스피드입니다. 그런데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은 피지컬이 좋은 편입니다.
2019년 AFC 아시안컵을 예로 들면 대회에 참가했던 축구 국가대표팀 중 평균 신장 1위를 기록한 것이 이란 국대였습니다. 184cm의 평균 키를 갖고 있었죠.
2위였던 한국보다 1cm 정도 큽니다. 대부분의 아시아 소속 축구 국대가 한국보다 낮은 키라는 걸 생각하면 피지컬적 강점을 갖고 있는 셈입니다.
한편 긴 원정 거리도 부담입니다. 구글 지도로 봐도 한국과 이란의 거리는 약 6600km입니다.
우리나라 대표팀 선수들은 이제 글로벌화되어서 세계의 이곳 저것에서 뛰다가 대표팀 소집에 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국대 전력의 핵심인 손흥민, 황의조, 황희찬 등의 선수 등 해외파가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죠.
이점에서 이란 원정은 컨디션을 100% 맞추고 가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위키피디아의 한국 이란 축구 전적에 의하면 아직까지 한국 성인 A매치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1승도 기록하지 못하고 2 무 5패인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엔 결과가 달라지길 바라봅니다 :)
이란은 우리나라와 달리 이슬람 율법을 기반으로 한 통치를 추구하는 신정 주의자들이 50%, 국민들이 투표로 선출할 수 있는 50%의 의원, 정치인으로 권력이 나눠져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래도 사회 전반에 이슬람 율법이나 보수성이 강한 편인데 그 이란의 율법주의 보수파들도 축구에 대해서 만큼은 한수 접어줍니다.
이란의 축구 열기는 대단한 편입니다. 2001년 프로리그가 설립되었고, 프로리그가 없던 시절까지 포함해도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에서 이란의 팀들은 3회에 걸쳐 우승했습니다.
이란에서 축구가 인기가 많은 이유는 주로 아래와 같은 이유들이 꼽힙니다.
*이란의 스포츠 인프라 특성상 상대적으로 다른 종목에 비해 돈을 덜 들이고 국민들이 접근하기 쉬운 스포츠라는 것
*서양의 색채가 강한 다른 스포츠에 비해서 상대적으론 이란인의 감성에 맞다는 점
*미국과 서방권의 경제제재를 받고 있지만 축구만큼은 어느 정도 예외가 허용되어 이란의 많은 선수들이 유럽 등 서방에서 뛰고 있다는 점
*반미감정이 심한 이란에서 1998년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은 98년도 프랑스 월드컵에서 전대회 개최국이자 16강 진출팀인 미국을 2-0으로 꺾어 국민들에게 감동을 준 사건이 있다는 점.
*코로나 시국 이전을 기준으로 경기장 관중 입장이 허용될 때 이란인들에게 경기장이란 단지 축구뿐만 아니라 모임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
*여성의 사회참여가 제한적으로 허용되나 축구는 이란 여성 국가대표도 있을 정도로 문호가 열려있다는 점
이런 이유로 이란의 통치자, 국민 할 것 없이 축구에 많은 후원과 응원을 보내고 있습니다.
심지어 여성의 경기장 관중석 출입이 특별한 예외 없인 허용되지 않는 이란에서 이번 한국 대표팀과의 경기에선 특별히 여성 입장이 허용되었습니다.
최근 이란은 세속주의와 자유보단 이슬람 율법을 더 중시 여기는 보수정당이 선거에서 승리를 거두어 이란의 진보파나 여성들이 불안해하고 있는데,
이것을 달래려는 정치적 제스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아자디 스타디움은 한국과의 경기가 열리면 만원이 됩니다.
(+이 부분은 최근 이란의 코로나 방역 사항이 바뀌어 무관중 경기로 수정되었기에 위의 이야기를 수정합니다)
한편 텃세도 꽤 심한 편입니다. 아래의 과거 뉴스 기사처럼 이란은 한국 대표팀이 원정을 갈 때마다 훈련장 제공 문제 등에서 꽤 텃새를 보인 편입니다.
https://m.news.nate.com/view/20161009n01383?mid=s02
[테헤란 리포트] 또 시작된 이란의 텃세, '수준 이하' 훈련장 제공 | 축구 : 네이트 스포츠
축구 뉴스: [인터풋볼=이란(테헤란)] 정지훈 기자= 과거보다는 많이 좋아졌다고 말하지만 이란의 텃세는 여전했다. 역시나 문제는 훈련장이었고, 잔디 상태와 조명 시설에 있어서 수준 이하의 훈
m.news.nate.com
(사진=이란축구연맹 웹사이트 훈련 중인 국가대표들 http://ffiri.ir/fa/news/9715/%D8%AA%D9%85%D8%B1%DB%8C%D9%86-%D8%AA%DB%8C%D9%85-%D9%85%D9%84%DB%8C-%D9%81%D9%88%D8%AA%D8%A8%D8%A7%D9%84)
이란은 이미 과거부터 분데스리가를 포함한 유럽의 저명한 리그에서 뛰는 해외파들이 있었습니다.
저 같은 기성세대에게 익숙한 이란의 레전드 선수 알리 다에이 선수도 분데스리가에서 뛴 경험이 있죠. 한국, 일본 수준은 아니지만 이란의 해외리그 진출은 꽤 적극적인 편입니다.
이란 선수의 분데스리가 진출이 다른 서방권에 비해 상대적으론 수월한 이유가 양국의 정치적 관계 때문입니다.
독일은 미국과 이란 간의 핵협상을 중재하고, 평화문제를 논의할 때마다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했고, 적어도 비정치적인 스포츠 분야에선
이란을 상대로 제재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래는 이란의 해외진출 축구 선수 정보를 정리한 위키피디아의 링크입니다.
분류:이란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분류:이란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현재도 이란 국가대표팀에는 러시아 리그 득점왕으로 유명한 사미르 아즈문, 네덜란드 리그에서 활약하는 자한 바크 슈 등이 맹활약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이란 국가대표팀은 우리나라가 한수 아래로 접하는 다른 중동팀에 비해 해외리그 진출에 적극적인 선수들이 많습니다.
과거 사우디가 한때 아시아 축구의 강자였지만 국내 리그의 높은 연봉과 리스크 회피 성향으로 선수들이 국내 리그에 안주하다 세계 축구 흐름에서 뒤처진 적이 있습니다.
그에 반해 이란은 이미 90년대에도 분데스리가에 진출한 선수들이 존재했고, 세계 축구의 흐름에 동참해온 편입니다.
사실 매번 이란의 침대축구에 골탕을 먹은 우리나라 축구팬의 입장에선 이란 축구가 얄밉기도 합니다^.^;; 하지만 침대축구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면 2018년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은 세계적인 축구스타 호날두가 있으며 2016년 유로축구대회 우승팀인 포르투갈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었습니다.
분명 침대축구를 하긴 했지만, 당시 수비를 맡았던 이란의 센터백과 수비수들의 역량이 세계적인 선수들과 경합해도 밀리지 않는 조직력을 보여줬던 게 사실입니다.
이번 한국 이란 경기는 어떻게 될까요? 무엇보다 이번 한국 이란 축구경기가 기대되는 이유는 양 팀이 현재 세대교체 중에 있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40대 이상의 기성세대는 이제 자주 들어보지 못한 선수들이 서서히 한국, 이란 대표팀의 일원이 되어 경기에 동화되고 있습니다.
새 세대의 승자는 누가 될까요?
얼마 전 이란의 국대 올드 멤버가 한국 대표팀의 실력을 깎는 발언을 했는데, 우리 선수들이 잘 활약해 오래간만에 이란의 콧대를 꺾길 바랍니다.
현재 우리나라가 이란을 상대로 거둔 마지막 A매치 승리는 2011년 있었던 AFC 아시안컵에서 윤빛가람 선수의 골로 승리한 경기입니다.
10년 만에 승리의 기쁨을 누리길 바라봅니다 :) 대한민국 국가대표 축구 파이팅입니다!
*이 블로그의 글을 퍼가실 땐 출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스마트폰의 등장이 스포츠 분야에 미친 긍정적 영향 (0) | 2021.10.13 |
---|---|
세계 운동화 시장 규모 및 성장 이유 (0) | 2021.10.09 |
저출산 현상이 스포츠 분야에 미칠 부정적 영향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