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밀러의 스마트한 세상사 :)!!

태권도가 세계적인 인기 스포츠가 된 이유 

 

태권도가 세계적인 인기 스포츠가 된 이유를 짚어보는 포스팅입니다. 오늘날 태권도는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스포츠입니다.

 

세계 태권도 수련인구는 미디어와 웹사이트의 자료마다 다르지만 최소 7천만 명에서 많게는 1억 5천만 명으로 보고 있습니다.

 

태권도가 이렇게 세계적인 인기를 갖게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key point

 

*태권도는 가난한 개도국에서 다른 스포츠에 비해 인프라와 접근성의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가난한 나라도, 부자인 나라도 메달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있다.

 

*연맹과 정부의 적극적인 보급노력이 세계화에 기여했다.

 

1.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인프라 투자비와 좋은 접근성

오늘날 지구촌에서는 부유한 나라들도 있지만, 형편이 좋지 못해 가난하거나 아직 부의 길로 가는 개도국들이 있습니다.

 

이런 나라들의 입장에서 스포츠를 육성할 때 태권도는 다른 종목에 비해 비용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과거 오랫동안 수영에서 아프리카 출신 메달리스트가 희귀했던 이유는 아프리카 사람들이 수영을 못해서가 아니라

 

적잖은 아프리카의 나라에서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수영장을 설치할 형편이 못되었기 때문입니다.

 

올림픽 종목 중 하나인 승마도 마찬가지입니다. 넓은 경마장과 비싼 말, 전문적인 조련사가 필요하죠.

 

이렇듯 스포츠화를 꿈꾸는 개도국의 입장에서 올림픽의 여러 종목 들은 돈이 꽤 드는 편입니다.

 

과거 우리나라가 지금보다 못살던 시절 유도, 레슬링 등의 종목에 집중 투자해 강세를 보였던 이유도, 이런 종목들은 위에 예시로 든 수영, 승마에 비해 비용이 상대적으로 덜 들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후원도 있었죠.

 

하지만 태권도는 그렇지 않습니다. 도복과 호구, 도장을 차릴만한 적절한 건물이 있다면 남녀노소 누구나 접근해 건강을 단련할 수 있습니다.

 

과거 IOC가 태권도를 정식 종목으로 채택했던 배경에도 지구촌 사람들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접근성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입니다.

2.개도국 올림픽 메달의 희망

최근 정부가 멸망하는 안타까운 일을 겪은 아프가니스탄이 올림픽에서 처음 메달을 딴 건 2008년의 일입니다. 아프간의 태권도 선수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따는데 성공했죠.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인 아프간에서도 태권도 메달에 도전할 수 있을 정도로 태권도에 거는 개도국들의 희망은 큽니다.

 

올해 개최된 2020 도쿄올림픽에서 총 21개국이 태권도에서 메달을 획득했고, 총 61개국이 태권도 종목에 도전했다고 합니다.

 

아래의 뉴스 기사는 이점을 잘 다룬 기사여서 링크로 첨부합니다.

 

https://www.hani.co.kr/arti/sports/sportstemp/1005623.html

 

한국 ‘노 금메달’ 뒤엔 태권도 세계화…21개국 시상대 올라

세계태권도연맹에 210개국 가입 난민팀 포함 61개국 올림픽 참가 특별한 장비 없어 진입장벽 낮아 경제수준 관계없이 누구나 즐겨 센서로 점수 줘 규칙 개정 목소리 “실점 안하려 공격보다 수비

www.hani.co.kr

 

위에서도 설명드렸듯, 적잖은 스포츠 종목들은 높은 비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비용 외적으로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는,

 

선진국과의 경험 격차입니다. 올림픽에서 오래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스포츠들은 대부분 그 스포츠에 맞는 기술, 경험이 선진국일수록 많이 쌓여있습니다.

 

하지만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부터 채택되어 그런 종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올림픽에서 젊은 종목이며, 세계태권도연맹에서 

 

태권도의 세계화를 목표로 대회개최, 기술교류, 인적교류, 보급 노력을 하고 있어 개도국들이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번에 전 우리나라에서 태권도 금메달을 따지 못한 것이 아쉽긴 하지만, 그만큼 우리의 스포츠인 태권도가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아지고,

 

많은 지구촌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것 같아 뿌듯하기도 했답니다 :)

3.태권도 세계화를 위한 정부와 연맹의 노력

(사진=픽사 베이 https://pixabay.com/images/id-1866283/)

 

정부에서도 태권도 세계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평화유지군 파병 때마다 태권도 교관들이 현지의 아이들에게 태권도를 교육했던 것이 그 사례입니다.

 

과거 레바논 평화유지 임무 파병 때도 우리 군은 현지인들에게 태권도를 가르쳤습니다.

 

현재 중동지역에서 태권도의 인기는 상당한 편이고, TV 중계도 이뤄지며, 중동의 여성들에게도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한편 세계태권도연맹은 그동안 세계 여러 나라에 태권도를 보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그런 연맹의 노력을 잘 소개하고 있어 첨부해봅니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766

 

세계태권도연맹(世界跆拳道聯盟)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73년 5월 25∼27일에 걸쳐 대한민국 서울에 있는 국기원(國技院)에서 열린 제1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 참가한 19개국 35명의 대표들이 모여 1973년 5월 28일 세계태권도연맹(World Taekwondo)을 창설

encykorea.aks.ac.kr

4. 아이들의 심신을 단련하기 좋은 스포츠

저는 태권도가 인기를 끌게 된 배경으로 '적절함'을 꼽습니다. 여기서 적절함이란 지나치지도 않고, 그렇다고 모자라지도 않는다는 말이죠.

 

특히 아이를 가진 부모들 입장에서 그렇습니다.

 

우리 아이가 운동은 해야 될 것 같은데, 너무 격렬한 운동을 하면 다칠 것 같고, 그렇다고 너무 쉬운 운동을 해서 아이가 육체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것도 싫은 그런 상황에 태권도는 훌륭한 해답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많은 태권도 사범님, 관장님들 중 본받을만한 훌륭한 인격을 가진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우리 아이들이 운동을 배우면서 건강도 살피고, 자신의 인격도 수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태권도는 좋은 스포츠인 것 같아요 :)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와 팬데믹으로 전 세계의 태권도인들이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팬데믹이 진정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미래에도 지금처럼 태권도가 세계적인 인기 스포츠로 많은 지구촌 사람들에게 사랑받길 바라봅니다 :)!

 

*이 블로그의 포스팅을 퍼가실 땐 출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