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밀러의 스마트한 세상사 :)!!

일본이 IT 후진국이 되었던 이유 4가지

일본이 IT 후진국이다 라는 이야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여전히 팩스를 쓰고, 워드프로그램이 귀찮아 수기를 쓰는 학교가 많단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런데 언뜻 생각하면 이상합니다. 일본은 한 때 전자강국이었고, 우리보다 PC 도입도 빨랐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오늘은 왜 일본이 IT 후진국이 되었는지, 그 이유들을 소개해보겠습니다.

 

Key point

 

*일본은 지진 문제와, 주거 환경, 지형적인 문제로 초고속 인터넷의 전국 설치가 늦어졌다.

 

*우리나라보다 빨리 시작된 고령화, 내수중심의 경제는 IT 보급을 늦췄다.

 

*최근 일본도 전자결제가 활성화 되고 있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IT가 인기를 끌어 미래는 바뀔 가능성이 높다.

1. 일본의 고질적인 지진 문제와 지형 문제

모두 아시다시피 일본은 지진이 잦은 나라입니다. 

 

일본은 4개의 큰 섬과 3,000여 개의 크고 작은 섬으로 구성된 나라입니다.

 

이 작은 섬들 조차 공식 통계만 봐도 인구가 제법 사는 유인도가 400개나 됩니다.

 

(통계 출처-http://kfem.or.kr/?p=211586)

일본은 국토 면적도 남한의 약 3배 입니다.

이런 이유로 일본은 IT와 인터넷에 필요한 설비 설치가 늦어졌습니다.

 

여기엔 통신 기지국, 육상, 해저 케이블선 설치가 매우 늦어졌습니다.

잦은 지진으로 공사를 속도감 있게 하기도 어려웠고, 이런 케이블선이 지진에도 안전하도록 안전조치도 해야 했습니다.

결국 일본에서 우리나라처럼 통신사에 신청만하면 가정마다 자유롭게 인터넷을 설치할 수준의

 

인프라가 나온건 2000년대 중반에나 가능했습니다. 

 

그 시절 일본을 방문해 본 분들은 기억하시겠지만, 그때도 한국보다 인터넷 속도가 무척 떨어졌죠.

 

오히려 일본보단 초고속 인터넷 전국망 구축 사업을 늦게 시작한 한국이

 

2000년에 일본과 비슷한 보급률(약50%-일본 총무성 통계)이 나와 버렸습니다.

2005년엔 이 지수에서 한국이 역전했죠. 

이 시기 일본 유학을 경험했던 지인들이 한결같이 했던 말이 있습니다.

한국에선 30분 만에 다운받는 자료를 일본에선 3시간 걸리는 일이 많았다고 했습니다.

 

대부분의 1세계 국가들이 급속도로 인터넷을 보급하던 시기 일본은 자연환경 문제로 그럴 수 없었고,

 

그만큼 인터넷의 대중화도 늦어졌습니다.

2. 일본의 빠른 고령화 문제

저는 소위 말하는 X세대입니다. 그 덕에 90년대 중반부터 보급된 PC통신으로 컴퓨터 지식과 인터넷을 학습했죠.

 

사실 어느분야나 그렇지만 IT 분야는 더욱 젊을수록 배우는 게 빠릅니다.

 

일본은 여전히 미닫이 문이 많습니다. 인구 중 33%가 만65세 이상의 노인이기 때문입니다.

 

전자 도어락을도어록을 두면 근력과 기억력이 부족한 노인들이 전자 도어록을 입력하는데 헷갈려하거나 입력하고도 문을 

밀 때 힘에 부치는 일이 있어 인기를 잃었기 때문입니다.

 

한편 전자 도어락은 지진이 발생했을 시 빨리 문을 열고 사람을 구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갑자기 미닫이 문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여기에 현대 일본의 고령화가 부른 문제점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나이먹을 수록 사람은 새로운 걸 배우려 하기보단, 기존에 익숙한 걸 선호하게 됩니다.

 

잃어버린 10년과 연공서열제로 굳어진 일본의 직장은 어느덧 주요 의사결정권자가 대부분 옛날사람이 되었습니다.

 

 

내가 노트북으로 업무메일을 보내고 싶어도, 상사가 팩스로 보내고 싶으면 그만입니다. 

일본은 80년대부터 업무에 컴퓨터를 쓰는 회사는 많았지만, 

정작 임원들은 대부분 컴퓨터를 끄고 켜는 것도 모르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3.내수 중심경제가 부른 갈라파고스 문제

(사진=픽사베이, 일본의 젊은세대는 IT기기에 친숙하다.)

 

90년대 후반 한국의 대기업들은 좋든 싫든 IT화를 서둘러야 했습니다.

우리는 그때도 지금도 gdp의 7,80%를 무역에서 벌어들이는 구조고, 

그 시절 우리의 주요 파트너였던 미국과 유럽은 빠른 IT화를 추구했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론 IMF 사태 이후 우리가 글로벌 기준에 맞추지 못해 

이런 경제위기가 왔다는 위기의식에 분발한 것도 있습니다.

상인(한국) 입장에서 손님(미국, 유럽)들에게 물건을 팔려면 손님들이 원하는 물건을 그들이 원하는 방법으로 찍어내야 했죠.

일본은 달랐습니다. 일본의 무역의존도는 해마다 다르지만 보통 15~20% 정도고, 경제에서 내수의 비중이 훨씬 큽니다.

한편 2010년 중국에게 2위자리를 내줄 때까지 세계 2위의 GDP를 갖고 있었습니다.

일본기업들 입장에선 IT화를 서두를 이유가 없었고,

IT에 익숙하지 않은 자국민들 부터 챙겨야 했습니다. 일본의 인구구조는 IT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층의 비중이 훨씬 컸죠.

이런 이유에 더해 버블붕괴의 충격이 가시지 않던 일본기업들은 IT전환을 서두르지 않는 보수적 선택을 합니다. 

 

일본의 갈라파고스 현상에 대해선 과거에 쓴 포스팅이 따로 있습니다.

 

https://hemiliar.tistory.com/736

 

일본 경제가 갈라파고스 현상을 겪는 이유 5가지

일본 경제가 갈라파고스 현상을 겪는 이유 5가지 비즈니스에서 '갈라파고스 현상'이란 어떤 서비스나 기술이 국제적인 트렌드에 맞지 않고, 한 지역이나 국가에서 독자적으로만 발전해, 세계적

hemiliar.tistory.com

4. 일본의 게임문화와 주거문제

X세대 분들, 혹시 저희 어릴 때 부모님에게 컴퓨터를 사달라고 조를 때 어떻게 말했는지 기억하시나요 :)?

 

저도 pc통신 교육 시스템을 듣고 싶단 감언이설(...)로 부모님을 설득해 컴퓨터를 구입했습니다.

 

실제 목적은 게임이었다는거 다들 기억할 겁니다.

 

이건 사실 문화권을 떠나 비슷해서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도 게임을 목적으로 컴퓨터를 사곤 했습니다.

 

게임은 인터넷에 접근하게 만든 통로였죠.

 

반면 일본은 콘솔게임문화입니다. 닌텐도, 플스, 추억의 새가 새턴 등등..

 

가정마다 콘솔 게임기를 두고 게임을 하는 문화가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죠.

이 시기 콘솔게임은 대부분 인터넷 모드를 지원하기보단 혼자 할 수 있는 스토리 위주의 게임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주거환경도 일본의 인터넷 보급을 막은 요인이었습니다. 한국은 인구의 절반이 아파트에 살고 있습니다.

아파트에 살지 못하더라도 다세대 주택에 사는 비율이 높죠. 

그래서 과거 아파트와 빌라 근처의 전봇대를 중심으로 인터넷을 설치하기 쉬웠습니다.

반면 일본의 사정은 달랐습니다.

 

*일본의 주택 사정


일본은 한국에 비해서는 수도권 집중이 덜한 구조고, 면적의 차이로 아파트 몰빵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주택에 사는 비율이 한국보단 훨씬 높습니다. 지진 때문에 고층의 아파트를 잘 짓지 않기도 하고요.

*지진이 유발하는 전기화재 문제

일본에선 인터넷 선을 따 설치할 때 한국보다 더 많은 조치를 합니다. 비용도 더 들어가죠.

*일본에는 아예 인터넷 설치를 논할 상황이 아닌 수준의 매우 오래된 목조 주택이 많습니다.

5. 미래는 다를 것이다.

위의 이유들로 일본은 인터넷의 보급이 늦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일본도 변화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라인페이를 비롯한 온라인 결제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IT 기기에 친숙해졌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관련기사입니다.

 

http://www.ikbc.co.kr/article/view/kbc202304040059

 

현금의 나라 일본이 달라진다.. 지난해 카드ㆍ전자 결제 1천조 원↑

현금 결제를 선호하는 일본에서 신용카드와 간편결제 관련 결제액이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1,00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오늘(4일) 일본 언론 닛케이 보

www.ikbc.co.kr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아이폰과 전자결제, 스마트 기기 등에 익숙해진 일본의 젊은 세대들이 노년 세대와 세대교체를 하겠죠.

 

세상엔 영원한 후퇴도 영원한 전진도 없다던 어떤 작가의 말이 생각납니다.

 

오늘의 글을 읽고 궁금증이 풀리셨길 바라면서 다음 시간의 포스팅으로 뵙겠습니다 :)

 

*이 포스팅을 퍼가실 땐 출처를 남겨주세요.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